23대 국정과제를 선정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작성일25-08-16 14:51 조회12회 댓글0건본문
이 목표 아래 123대 국정과제를 선정했다.
농업분야에선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목표 아래 ▲국민먹거리를 지키는 국가전략산업으로 농업 육성 ▲국가 책임 강화하는 농정 대전환 ▲균형성장과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농산어촌이 포함됐다.
전략을 바탕으로 저성장의 고착화를 벗어나기 위한 계획들이 담겼다.
국정기획위원회가 가장 먼저 내세운 것은 AI다.
AI를 미래전략산업으로 선정해 AI관련 데이터 처리 연산 인프라를 국가 수준에서 갖춘다는 게 핵심이다.
원 규모의 정책금융과 세제지원, 공연형 아레나 등산업성장 기반을 확충할 계획이다.
또 영상, 음악, 게임 등 K콘텐츠 핵심산업을전략적으로 지원하고, 푸드, 뷰티, 관광 등 K컬처 연관산업의 동반 수출을 확대할 방침이다.
K컬처산업과 문화예술계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바이오·방산·기후테크 4개 분야에 방점을 두고 있다.
정부는 국민성장펀드 100조원 이상을 조성해 AI 등 미래전략산업투자를 강화한다.
오는 2040년까지 전국에 AI를 활용한 전력 시장·시스템 혁신 등을 골자로 한 에너지고속도로를 완공해산업.
‘첨단혁신산업펀드’와 ‘미래성장펀드’로 구성된 국민성장펀드는 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 등전략산업, 5극 3특 등 지역균형발전 분야에 투입된다.
그래픽=정서희 국정위는 12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국민보고대회에서 5.
챗GPT 생성이미지 연내 출범할 첨단전략산업기금 출자 사업에 참여하는 사모펀드(PE)와 벤처캐피털(VC)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민간 자금의 투자 유인을 높이면서도 피투자기업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회.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보고대회를 개최하고, 이재명정부의 국정.
인공지능 등 신통상 규범 형성 주도의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산업과 통상은 이제 따로 갈 수 없는 정책"이라면서전략산업과 통상협상, 해외투자, 기술협력을 묶는 패키지형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아태지역 정책 아이디어.
산업기술·인력·규제·투자·기업 생태계 등 정책 부분별 핵심과제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글로벌전략전환 △산업고도화를 위한 주력산업업그레이드와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 등 4대 분야의 10대 정책과제를 꼽았다.
10개 주력산업은 자동차, 이차전지.
산업연은 오늘(7일) '한국산업도약을 위한 종합적전략과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인공지능.